HTAP Databases

1 minute read

Published:

지난 1학기, 컴퓨터구조 강의를 들으면서 이것저것 논문을 찾아보다가 우연하게 찾은 논문이 하나 있습니다. 딱히 내용이 궁금했던 것은 아닌데, 논문의 저자 중에서 컴퓨터구조 분야에서 정말 많이 보이던 이름을 발견해서 흥미가 생겼습니다. 왜 흥미가 생겼냐면, 논문의 주제가 데이터베이스였기 때문입니다. 아키텍쳐 교수님이 데이터베이스 논문을? 이라는 생각이 들어 흥미롭게 읽었던 논문입니다.

이 논문에서 다루었던 주제가 바로 HTAP 데이터베이스입니다. HTAP 데이터베이스를 처음 접한 논문이었고, 지금 연구실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와 꽤나 연관이 있다고 생각해 HTAP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에 대해 특히 집중해서 읽었었는데요. 그 논문의 내용을 조금 정리해서 작성하려고 했는데 논문 서치를 조금 해 보니 SIGMOD에 관련된 튜토리얼이 있었습니다. 아무래도 논문의 릴워크에 있는 설명보다는 이 튜토리얼이 HTAP 관련해서 더 충실하게 정리가 되어 있을 것 같아서 이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.

HTAP?

HTAP란 Hybrid Transactional Analytical Processing의 약자입니다. 가끔가다가 OLTP, OLAP과 같은 단어를 보셨을 수도 있습니다. 각각 on-line transactional processing, on-line analytical processing의 약자인데요.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전자는 빠르게 스트리밍되어 들어오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고 싶다!가 주된 목적인 것이고 후자는 그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하고 싶다!가 주된 목적인 것입니다. HTAP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OLTP와 OLAP을 융합하고 동시에 효율적으로 활용해 트랜잭션 관리와 데이터 분석의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. 빠른 속도를 위해 in-memory 저장소를 활용한다는 것도 틍징입니다.

To be updated…